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

달이 뜨는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강화도 물때와 물때 시간표 알아보기

by 김버리 2024. 10. 14.

강화도 물때와 물때 시간표

강화도는 서해에 위치한 섬으로, 물이 빠지고 들어오는 조수간만의 차가 매우 큰 지역이다. 따라서, 물놀이 또는 조개잡이 갯벌 체험을 위해 강화도를 방문한다면, 물이 빠지고 들어오는 시간인 물때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물때는 바닷가 해수면의 높낮이를 말하며, 물이 가장 많이 빠지는 시간을 간조, 반대로 물이 가장 많이 들어오는 시간은 만조라고 하며, 매일의 물때를 표로 정리한 것을 물때표 또는 물때 시간표라고 한다. 즉, 우리는 강화도에 방문하고자 하는 날짜의 물때표를 확인해야 한다. 지금부터 강화도 물때에 대해서 알아보고, 방문 목적에 맞는 물때 시간표를 확인해 보자.


강화도 물놀이는 오전 10시~오후 4시, 조개잡이 갯벌 체험은 오전 9~오후 12시 사이가 좋다.


*목차에서 원하는 소주제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을 바로 읽을 수 있습니다.


요약

  1. 물때는 바닷가 해수면의 높낮이가 변하는 현상을 뜻하며, 물때표(물때 시간표)는 이를 날짜별 표로 정리해 둔 것을 말한다.
  2. 강화도 물때는 물이 빠지고 들어오는 차이가 커서 시간에 따라서 변하는 해수면 높낮이 차이가 크다.
  3. 만조시간엔 물이 들어오고, 간조 시간에는 물이 빠진다.
  4. 강화도 만조와 간조 시간은 시기(달의 모양)에 따라서 달라진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5. 물놀이를 위해서는 간조 이후에 바닷가를 찾는 것이 좋고, 갯벌 체험을 위해서는 만조 이후가 좋다.

물때란 무엇인가?

바닷물은 하루에 두 번씩 밀물과 썰물로 반복적으로 차오르고 빠지는데, 우리는 이렇게 바닷가 해수면의 높이가 변하는 현상을 물때라고 한다.

  • 물때: 바닷가 해수면의 높낮이 변화
  • 물때표(물때 시간표): 날짜별 물때를 표로 정리해 둔 것
  • 만조: 해수면이 가장 높아지는 시간
  • 간조: 해수면이 가장 낮아지는 시간

이렇게 변하는 물때는 물이 빠지고 들어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나뉜다:

  • 밀물: 바닷물이 해안가로 들어와 해수면이 높아지는 시기
  • 썰물: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해수면이 낮아지는 시기

이러한 현상은 달의 중력에 의한 영향이 바다에 영향을 미치면서 발생하는 자연현상으로, 이를 조수간만이라고도 하며, 물의 높낮이 차이를 조수간만의 차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물때는 달의 위치에 따라 변화가 크다. 즉, 보름달 또는 그믐달이 뜨는 시기엔 조수간만의 차가 커지고(사리), 하현달 또는 상현달(반달)이 뜨는 시기에는 조수간만의 차가 작아진다(조금).

  • 사리: 밀물과 썰물 사이 해수면 높이 차이(조수간만의 차)가 크다. 즉 물이 많이 빠지고, 많이 들어온다.
  • 조금: 조수간만의 차이가 작다. 즉 물이 빠지고 들어오는 변화가 적다.

강화도 물때

강화도 같은 서해 지역은 물때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조개잡이 갯벌 체험 또는 물놀이를 즐기기 위해서 물때표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강화도 물때의 특징이다:

  • 조수간만의 차이가 큼: 강화도는 서해의 특성상 조수간만의 차이가 매우 크다. 즉, 밀물 때와 썰물 때의 해수면 높이 차이가 현저하며, 이로 인해 강화도의 해안 지역에서는 밀물 때에 물이 깊어지고, 썰물 때에는 넓은 갯벌이 드러난다.
  • 물때의 주기성: 물때는 하루에 두 번씩 일어나며, 주기에 따라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현상이 반복된다.
  • 광활한 갯벌: 강화도는 썰물 때에 광활한 갯벌이 드러나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고, 이로 인해 갯벌 체험도 가능하다.
  • 조류의 영향: 강화도는 조류(바다의 흐름)의 속도가 빨라지는 지역이다. 이로 인해 물때에 따른 조류의 속도가 강화도 지역에서는 더욱 크게 느껴진다.

이를 요약하면, 강화도는 물때에 따라 갯벌 체험이 가능한 시기가 정해지며, 조개잡이 갯벌 체험을 위해 강화도를 방문한다면, 물때표를 참고하여 체험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상황에 맞는 강화도 방문 시간

방문 목적에 따른 강화도 방문 시간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다음은 물놀이 또는 조개잡이 갯벌 체험에 맞는 적절한 강화도 방문 시간이다:

  • 물놀이: 물놀이를 위해 강화도를 찾는다면, 물이 들어오는 시간에 강화도 해수욕장을 찾는 것이 좋다. 따라서, 강화도 물때표에서 방문 날짜의 간조 이후 2~3시간이 지난 시점에 물놀이를 시작할 수 있게끔 계획을 세우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조수간만의 차이가 작은 조금 시기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 조개잡이 갯벌 체험: 조개잡이 갯벌 체험을 위해서는 물이 빠지는 시간에 맞춰 강화도를 찾을 것을 추천한다. 즉, 만조 이후에 강화도 갯벌에 도착할 수 있게 시간을 맞춰 계획을 세우자. 더불어, 조수간만의 차가 커 갯벌이 많이 드러나는 사리 시기에 강화도 갯벌을 찾는 것이 좋다.

즉, 목적에 따라서 강화도 방문 시간이 달라진다. 물놀이가 목적이라면 조금 시기 그리고 간조 이후에 강화도 해수욕장을 찾는 것이 좋지만, 조개잡이 갯벌 체험이 목적이라면 사리 시기, 만조 이후에 강화도 갯벌에 도착해야 한다.


강화도 만조, 간조 시간

강화도 물때는 달의 위치에 따라 시간이 달라진다. 다음은 시기에 따른 강화도 물때 시간이다:

  • 달의 모양 -> 보름달 또는 그믐달 -> 사리(조수간만의 차이 큼)
    • 만조: 오전 4시~오전 9시 또는 오후 3시~9시
    • 간조: 오전 10시~오후 3시 또는 오후 10~오전 4시

즉, 사리 시기 강화도 물놀이는 오후 12시부터 오후 3시까지, 갯벌 체험은 오전 9시부터 12시 사이 시간을 추천한다.

  • 달의 모양 -> 상현달 또는 하현달(반달) -> 조금(조수간만의 차이 작음)
    • 만조: 오전 10시~오후 4시 또는 오후 11시~오전 3시
    • 간조: 오전 5시~오전 10시 또는 오후 5시~오후 10시

따라서, 조금 시기 강화도 물놀이는 오전 10~오후 4시 사이를 추천하지만, 갯벌 체험은 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는다.


마무리

강화도는 물이 빠지고 들어오는 조수간만의 차이가 매우 큰 지역으로, 시간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 변화가 매우 크다. 따라서, 물놀이 또는 조개잡이 갯벌 체험을 위해 강화도 바닷가를 방문한다면, 물이 빠지고 들어오는 시간을 정리한 물때표 또는 물때 시간표를 반드시 확인할 것을 추천한다. 그렇지 않으며, 물놀이를 위해 강화도를 찾았는데, 갯벌만 보고 올 수 있으며, 반대로, 갯벌 체험을 위해 강화도를 찾았지만, 갯벌은 구경도 못하고 집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관련글

  • 물때표 확인하는 방법:

https://farmfarm.tistory.com/entry/%EB%AC%BC%EB%95%8C%ED%91%9C-1%EB%B6%84%EB%A7%8C%EC%97%90-%ED%99%95%EC%9D%B8%ED%95%98%EB%8A%94-%EB%B0%A9%EB%B2%95-%EB%B0%94%EB%8B%A4%ED%83%80%EC%9E%84%EC%9D%80-%EA%B1%B0%EB%93%A4-%EB%BF%90


  • 몰놀이와 갯벌체험에 맞는 시간대:

https://farmfarm.tistory.com/entry/%EB%AA%B0%EB%95%8C%ED%91%9C-%EB%B3%B4%EB%8A%94-%EB%B2%95-%EB%AC%BC%EB%86%80%EC%9D%B4%EC%99%80-%EC%A1%B0%EA%B0%9C%EC%9E%A1%EC%9D%B4-%EA%B0%80%EC%9D%B4%EB%93%9C


  • 제부도 물때와 물때 시간표:

https://farmfarm.tistory.com/entry/%EC%A0%9C%EB%B6%80%EB%8F%84%EB%A5%BC-%EB%82%98%EC%99%80%EC%95%BC%ED%95%A0-%EB%95%8C-%EC%A0%9C%EB%B6%80%EB%8F%84-%EB%AC%BC%EB%95%8C%EC%99%80-%EB%AC%BC%EB%95%8C-%EC%8B%9C%EA%B0%84%ED%91%9C-%ED%99%95%EC%9D%B8%ED%95%98%EB%8A%94-%EB%B0%A9%EB%B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