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생활

이끼 먹는 청소부 야마토새우의 특징과 역사

by 김버리 2024. 5. 13.

야마토새우

야마토새우는 물생활하는 많은 사람들이 키우는 대표적인 관상용새우 중 하나다. 한국에서는 "야마토새우"로 알려졌지만, 영어로는 "Amano shrimp"라고 불리는게 일반적이다. 또한, 한국의 하천에서도 발견되는 야마토새우는 "왜생이"라는 한국 이름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체리새우나 crs와 같은 다른 관상용 새우들과는 크기와 번식 방법이 다른데, 오늘은 야마토새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요약

  1. 학명은 Caridina multidentata Stimpson, 1860이며, 한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2. 몸은 연한 갈색이며, 머리가슴부터 배까지 이어지는 4줄의 진한 갈색 얼룩무늬를 갖는다.
  3. 일본 새우 브리더 타카시 아마노(Takashi Amano)에 의해 이끼 청소부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4. 한국 이름은 "왜생이"다.

야마토새우의 특징

 

야마토새우는 체리새우, 블루벨벳새우와 같은 생이새우계열의 관상용 새우와 비슷한 생김새를 가졌지만, 이들과 약간의 차이점을 갖는다. 야마토 새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학명: Caridina multidentata Stimpson, 1860
  • 분포: 동아시아(한국, 일본)
  • 서식지: 강 또는 강 하구
  • 크기: 3~4 cm (최대 5 cm)
  • 생김새: 몸은 연한 갈색이며, 머리가슴부터 배까지 이어지는 진한 갈색 얼룩무늬 4줄이 있음
  • 식성: 잡식성
  • 성격: 온순하여 다른 생물(새우 포함)과도 합사 가능
  • 번식: *양측성회유 생물
  • 사육 난이도: 하
  • 번식 난이도: 상

*양측성회유(Amphidromy) 생물: 번식을 위해 특정 환경을 찾아 이동하는 생물을 말하며, 연어가 대표적인 양측성회유 생물이다. 야마토새우의 경우 번식을 위해 기수(강 하구)로 이동하며, 새롭게 태어난 야마토새우는 다시 강을 거슬러 올라간다. 


사육 조건

 

야마토새우는 다른 관상용 새우들보다 더 크고, 번식 방법도 다르지만, 사육 조건과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다.

  • 수온: 18-28℃
  • pH: 6-8
  • GH: 5-15dGH
  • KH: 6-8dKH 

이끼 청소부 야마토새우의 기원

다른 새우들보다 더 많은 이끼를 먹는 야마토새우는 대표적인 이끼 청소부다. 일본의 유명 새우 브리더 타카시 아마노(Takashi Amano)처음으로 야마토새우를 이용해 이끼를 제거 했으며, 그렇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Amano shrimp"라고 알려졌다. 


왜생이와 야마토새우

 

위에서 언급했듯이 야마토새우의 학명은 "Caridina multidentata"다. 이 이름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우리나라에 기록된 종을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즉, 야마토새우는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서도 살고 있다. 최초의 기록은 1958년 국내 학자(이병돈)가 경상남도 물금과 남해에서 채집하여 보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생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야마토새우가 한국에서 왜생이로 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기원은 야마토새우의 학명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지금의 야마토새우 학명은 "Caridina multidentata"이지만, 한국에 처음 기록될 때는 "Caridina japonica"였다. 그리고, 학명에 "japonica"와 같은 일본 이름이 들어갔을 때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을 뜻하는 "왜"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며, 이 영향을 받아 국명을 "왜생이"라고 정했던 것 같다.

 

*참고로, 지금 하는 이야기는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임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참고

https://blog.naver.com/farmfarm_/223101976550

 

야마토새우와 왜생이

다양한 종류의 관상용 새우가 전 세계 많은 사람들로부터 길려지고 있고, 그중에도 사육난이도가 낮고, 상...

blog.naver.com

 

마무리

이끼를 먹는 능력이 뛰어난 야마토새우는 이끼 청소부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본 새우 브리더에 의해 처음 사육되기 시작하였으며, 사육난이도는 낮지만 어항에서 자연번식은 어렵다. 또한, 우리나라의 자생하는 생물이며 번식을 위해 기수(강 하구)로 이동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처럼, 야마토새우는 다양한 매력을 갖는 민물새우 중에 하나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관련글

  • 관상용 새우의 이끼 청소 능력:

https://farmfarm.tistory.com/entry/%EC%83%9D%EC%9D%B4%EC%83%88%EC%9A%B0-%EB%B8%94%EB%A3%A8%EB%B2%A8%EB%B2%B3-%EC%9D%B4%EB%81%BC-%EC%B2%AD%EC%86%8C-%EB%8A%A5%EB%A0%A5%EC%9D%80-%EC%96%B4%EB%94%94%EA%B9%8C%EC%A7%80

  • 어항 이끼 발생 이유:

https://farmfarm.tistory.com/entry/%EB%82%B4-%EC%96%B4%ED%95%AD%EC%97%90-%EC%9D%B4%EB%81%BC%EA%B0%80-%EB%B0%9C%EC%83%9D%ED%95%98%EB%8A%94-5%EA%B0%80%EC%A7%80-%EA%B7%BC%EB%B3%B8%EC%A0%81%EC%9D%B8-%EC%9D%B4%EC%9C%A0

  • 새우키우기:

https://farmfarm.tistory.com/entry/%EA%B4%80%EC%83%81%EC%9A%A9%EC%83%88%EC%9A%B0-%EC%83%9D%EC%9D%B4%EC%83%88%EC%9A%B0-%EC%B2%B4%EB%A6%AC%EC%83%88%EC%9A%B0-CRS%EC%83%88%EC%9A%B0-%ED%82%A4%EC%9A%B0%EA%B8%B0

 

반응형